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011

초영어(Cho-English) 철자법 초영어(Cho-English) (=초글 잉그리쉬(Chogul-English)) 철자법 (* 이후에 초글 글자를 이미지로 첨부하겠습니다.) - 어떤 단어 발음의 끝이 ‘모음+자음’ 인 경우에 자음은 모음의 종성(받침)에 위치한다. 그러나 발음할 때 영어식으로 읽는다는 점에 주의하자. (받침자음을 뒤따라 빠르게 살짝 발음한다) ( grass, but, - 어떤 단어 발음의 끝이 ‘쉬’, ‘쥐’, ‘취’ 이면 무조건 ‘ㅡ(참으)’를 중성으로 받아들여 초성에 위치한다. ( bush, church, judge - 어떤 단어 발음의 끝이 ‘모음+자음1+자음2’ 인 경우에 자음1은 모음의 종성에 위치하고, 자음2는 ‘ㅡ(참으)’를 중성으로 받아들여 초성에 위치한다. 이때 영어식으로 발음함에 주의하자. ( world,.. 2006. 12. 13. 05:20
'참으'의 역할 초글의 독창성은 '참으'에 있습니다. 기존의 정통 한글이나 여타 새로운 한글에선 찾아볼 수 없는 초글만의 특징이죠. ‘ㅡ(참으)’의 역할 - 의의: 서구 언어에서 많이 사용되는, 모음 없이 자음만으로 발음하는 음절을 한글로 표기할 경우 어중간했다. (‘ㅡ’를 넣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‘ㅡ’는 엄연히 모음이다. 한편, 달랑 자음만을 적을 수 있지만, 최소한 초성과 중성이 결합해야만 한 글자(음절)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 한글의 원칙상 그렇게 할 수도 없다.) 즉, ‘ㅡ(참으)’는 그것을 가능케 한다. - 이는 마치 ‘ㅇ(이응)’이 초성에 위치해서 자음 없이 모음만으로 발음되게 하는 역할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. - 따라서 ‘ㅡ(참으)’는 표기상으로만 존재하고 실제 음가는 없다. - 초성만을 위치시킬.. 2006. 12. 13. 05:17
초글 추가 글자 원칙 초글 추가 글자 원칙 - 훈민정음 기본 글자 조형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. (수직선, 수평선, 사선, 원) - 자음은 초성과 종성에 놓였을 때 기존의 조형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. - 모음은 중성에만 놓이며 기존의 조형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. - 자음, 모음 한 글자의 획이 3획을 넘지 않는다. (부득이한 경우 4획까지 허용) - 기본 문자에 점을 추가해서 새 문자를 만들지 않는다. (가독성에 나쁜 영향) - 원칙적으로 수직선, 수평선, 사선, 원 만으로 가감획한다. - 필요한 경우 ‘ㅇ(이응)’ 의 반원을 가감획할 수 있지만, 크기의 비율을 유지한다. - 가획 선분 한 개의 길이는 최소한 기본 글자 선분 최대 길이의 3분의1 이상이어야 한다. - 선분은 다른 선분을 자르지 않는다.. 2006. 12. 13. 05:14
전 세계 문자에 대한 초글의 특징 전 세계 문자에 대한 초글의 특징 - 단순 나열이 아니라, 결합하는 특징 - 문자를 쓸 때 수평으로만 진행하지 않고, 받침(종성)을 사용 - 다양한 언어의 발음을 거의 완벽하게 표기 (유엔 통용어) - 문자를 복사, 확대, 축소할 경우, 가독성에 영향을 적게 받음 - 단순 기하학적 형태 (수평선, 수직선, 선분, 원)로 누구나 배우고 쓰기 쉽다 - 알파벳과 달리 글자 형태 간의 상호 연관성 2006. 12. 13. 05:11
한글에 대한 초글의 특징 한글에 대한 초글의 특징 - 모음 가획에 사선을 도입 (모음 음가의 확장) - 복모음, 삼중모음(중국어) 표기로 인해 음절에서 모음 표기 공간이 확장됨 - ‘ㅡ(참으)’ 자를 도입 (모음 없는 자음 음절 표기 가능) - 음절의 상단영역을 활용 (중국어 성조, 프랑스어...) - 문자를 추가할 경우, 가획, 감획, 뒤집기, 회전 원리 이용 - 가획할 경우, 기존의 가획과 비슷한 길이의 수평선, 수직선, 사선을 씀. - 쌍자음을 필기획수를 줄인 단축형태로 제작 (경음을 항시 쓰는 외국어에 사용) - 장음표기 가능 - 한글 고유의 독창성을 유지. (초성, 중성, 종성의 결합 특징을 유지) - 가독성과 필기 오류 부담으로 점(point, dot)을 가획하여 문자를 만들지 않았음 - 본래 한글의 조형성을 깨뜨리지.. 2006. 12. 13. 05:10
초글 제자시 주안점 초글 제자 시 주안점 - 기억하기 쉬어야 한다. (문자간의 연관성) - 쓰기 편리해야 한다. (필기구로 종이에 쓸 때) - 가독성이 좋아야 한다. (음절, 단어로 모아진 형태가 복잡하지 않아서 읽기 쉬어야한다.) - 컴퓨터와 관련해서도 모두 해당 (자판 두드릴 때, 모니터에 표시될 때, 폰트 제작할 때...) - 한글 고유의 공간 활용성을 살려준다. (가로로 일렬로 늘어놓지 않는다) 2006. 12. 13. 05:07
초글 제자 목적 초글 제자 목적 -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, 즉, 영어, 중국어, 아랍어, 러시아어, 스페인어를 공통으로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보급하고자 한다. - 그 외 지구상의 다양한 언어를 최대한 그 언어의 발음에 근접하게 표기하고자 한다. (프랑스어, 독일어, 일본어, 태국어, 포르투갈어...) - 궁극적으로 세계 공용 문자로 사용되고자 한다. - 실생활에서 각 언어가 현재 사용하는 문자 외에 2차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문자를 보급하고자 한다. - 전 세계 청각장애인은 발음자체를 시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도록 한다. 2006. 12. 13. 05:03